HYU Urban Design Lab

Professor

Jin A Park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교수
서울특별시 공공건축가
Professor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Public Architect of Seoul

  • Email: paran42@hanyang.ac.kr
  • Phone: +82-02-2220-0332
  • Address: #306, Science-Technology Building, 222 Wangsimniro, Seoungdong, Seoul, Korea

2000-2006 : 팡테옹소르본느 파리1대학(Pantheon-Sorbonne Paris 1 University)(박사)
1998-1999 : 국립파리건축6대학(UP6), 고등사회연구소(EHESS)(준박사)
1996-1998 : 국립파리건축6대학(UP6) 건축도시학 졸업 (석사)
1991-1995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졸업 (학사)

2021-present :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21-present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중앙심의위원회 위원
2019-present :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2018-present : 한강시민위원회 위원
2018-present : 강남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8-present : 한국도시설계학회 언론홍보위원회 위원장
2017-present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사
2016-present : 마포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3-present : 서울시 공공건축가
2011-2019 :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부교수
2009-2011 : (주)공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팀장
2007-2009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전임강사
2006-2007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학과 겸임교수
2006-2007 :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부팀장
2004-2006 :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시간강사
2000-2003 : LADYSS, CNRS(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산하 공간사회연구소) 박사연구원
1998-1998 : Atelier Jean Harari, France, Project Assistant

Publications

Kim, D., Hwang, J., & Park, J. (2023) Associations between Elderly Residents’ Supermarket Accessibility and Built Environmental Features in Seoul, Korea. Buildings, 13(2), 402. (SSCI)

Yoon, Y., & Park, J. (2022). Equitable City in an Aging Society: Public Transportation-Based Primary Care Accessibility in Seoul, Korea. Sustainability, 14(16), 9902. (SSCI)

Lee, J. Kim, D., & Park, J. (2022) A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Study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treetscapes That Affect Pedestrian Satisfaction. Sustainability, 14(9), 5730. (SSCI)

Kim, B., & Park, J. (2020) The Visual Effect of Signboards on the Vitality of the Streetscapes Using Eye-Tracking, Sustainability, 13(1), 30; https://doi:10.3390/su13010030 (SSCI)

Ryu, H., Kim, D., & Park, J. (2020)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Seoul Focusing on the Vitalization of Streets in Residential Areas. Sustainability, 12, 8877. (SSCI)

Kim, D., & Park, J. (2020). Assessing Social and Spatial Equity of Neighborhood Retail and Service Access in Seoul, South Korea. Sustainability, 12, 8537. (SSCI)

Kim, B., & Park, J. (2020). Awareness of Crime Prevention Effects Associated with a Wall Removal Project in Seoul.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https://doi.org/10.1080/13467581.2020.1726762 (SCIE)

Yoon, Y., & Park, J. (2018). St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Seoul. Sustainability, 10(7):2440; https://doi.org/10.3390/su10072440 (SSCI)

Kim, B., & Park, J. (2018). Effects of Commercial Activities by Type on Social Bonding and Place Attachment in Neighborhoods,Sustainability, 10(6):1771; https://doi.org/10.3390/su10061771 (SSCI)

Kim, M., & Park, J. (2016). The Effect of Village Regeneration on Settlemen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Change to Tourist Attraction from Residential A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5(3), 519-526.

Kim, B., Kim, M., Lee, J., & Park, J. (2016). Pedestrian Path Choice with Diagonal Streets.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5(3), 463-470.

황규나, 김동현, 박진아. (2024)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에 따른 소매입지 변화 특성 분석 – 성수동 음식점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9(6), 66-85.

안영환, 김동현, 박진아. (2024). 생활업종별 밀도가 주거침입 범죄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범죄 신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토계획, 59(3), 57-72.

Yoon, Y., & Park, J. (2023). A Study on Vulnerability of Local Neighborhood Stor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 Focusing on Online Shoppi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8(3),19-34.

김한별, 김동현, 박진아. (2022).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환경지각 관점에서 예각필지의 주시 특성 연구 – 서울 역사도심 종로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23(3), 163-179.

백희은, 강민경, 최슬기, 박진아(2022), 상업가로 가로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야간 평가 연구 – 광진구 미가로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23(2), 107-122.

Seo, J., Kim, D., Park, J. (2021). A Study on an Evaluation of the Manag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Using Deep-Learning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6(7), 26-38 

박수훈, 김동현, 박진아. (2021). 저층주거지 물리적 환경의 야간 범죄두려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요인 분석. 국토계획, 56(3), 5-20.

강태연, 박진아. (2021).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 재활성화 진단 연구. 국토계획, 56(3), 78-91.

한희수, 김병석, 박진아. (2020). 전통시장과 Mall형 상업시설 이용행태가 지역애착심 및 지역커뮤니티에 주는 영향 연구: 용답동, 자양동, 행당동 사례를 대상으로, 도시행정학보, 33(3), 125-152.

전준형, 박진아. (2020). 보행환경이 근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2017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5(3), 29-42.

이지윤, 박진아(2020),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정보량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 비전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설계, 21(4), 75-86

한희수, 김병석, 박진아(2020), 상업시설 유형에 따른 방문빈도가 상업시설 애착과 지역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망우동 이마트와 우림시장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3(2), 23-42.

박수훈, 김동현, 박진아(2020), 도시조직이 생활도로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생활도로 내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5(2), 5-14.

김병석, 박진아. (2020). 인사동의 주·야간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도시설계, 21(1), 121-132.

이하진, 김병석, 박진아. (2019). 상업지만족도가 방문객 체류시간과 소비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활성화된 상업지역과 정체된 상업지역 비교를 통하여 -, 주택도시연구, 9(3), 55-65

전준형, 박진아. (2019).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자연발생적 노후 주거지역의 상업 확산 연구 – 경리단길 사례를 대상으로, 도시설계, 20(4), 5-20.

이지아, 박진아(2019), 역사문화경관의 색채특성 및 지역 이미지 분석 – 삼청동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20(2), 33-45

류화연, 박진아(2019),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국토계획, 54(1), 40-51

김동현, 박진아(2018),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이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상업용도 확산지역 도출 –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 국토계획, 53(7), 23-37

서광영, 박진아. (2018). 도시재생 붐업사업으로서 거점시설 조성 전·후 지역이미지 변화 및 시설 효과 분석 – 플랫폼창동61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9(2), 1-19.

이지아, 박진아. (2018). 소규모 도시유휴공간으로서 상업화 가로변 건축물 측면공간의 합리적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국토계획, 53(2), 67-83.

서광영, 이지아, 박진아. (2018). 건축물 사이공간으로서 측면공간 활용여부에 따른 보행자 경관이미지 분석 연구. 도시설계, 19(2), 21-37

김병석, 박진아. (2018). 주· 야간 상업가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도시설계, 19(2), 85-96.

김동현, 박진아(2017),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서울시 사업체조사 (2006~2014)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v. 52 n6(43-56)

김동현, 박진아(2017), 가로의 상업화에 따른 저층부 입면 경향 분석, 국토도시공간연구, v. 12 n1(55-65)

윤윤채, 박진아(2016),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v. 17 n4(17-32)

차주원, 박진아(2016), 보행유발 상업가로 선별을 위한 가시영역분석기법 연구 경향 분석, 국토도시공간연구, v. 11 n1(88-103)

이세연, 김병석, 박진아(2015), 강남 슈퍼블록 내 전이영역 특성분석 연구, 도시행정학보, v.28 n2(219-246)

차주원, 김민균, 박진아(2015), 보행자 길 선택시 가로의 구조적 영향요인 연구, 도시설계, v.16 n3(53-71)

표선영, 김병석, 박진아(2015), 상업가로 가로환경요소에 대한 인지 및 D:H 비율이 가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도시설계, v.16 n.2, 11(77-87)

이세연, 송지연, 박진아(2014), 교차로에서 보행자 길 선택과 길선택 영향요인 연구, 도시설계, v.15 n.4, 10(165-174)

송지연, 이세연, 박진아(2014), 가로의 구조적 환경에 대한 보행자 선호도 조사, 도시설계, v.15 n.3, 11(151-161)

박진아, 김병석(2014), 근린환경만족도 및 지역사회 애착도가 마을만들기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연구-한남1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v.15 n.2, 12(215-226)

김병석, 박진아(2014), 단독주택지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 분석 연구: 주거침입 절도범을 대상으로, 도시행정학보, v.27 n.1, 19(51-69)

박진아, 이지연(2013), 분당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위계별 전면공간이용 특성 실증분석, 도시행정학보, v.26 n.4, 24(335-359)

송지연, 박진아(2013), 한강시민공원의 이용자 활동 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도시설계, v.14 n.4, 12(43-54)

김병석, 박진아(2013), 단독주택지 담장허물기 사업 후 물리적 변화요소가 자연적 감시와 범죄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설계, v.14 n.3, 12(119-130)

박진아, 정윤주(2013), 삼청동길 상업가로 장소성 변화요인으로서 프랜차이즈 상점 입점현상 고찰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29 n.5, 9(215-223)

박진아 (2012), 시장경제 속 소형상업의 위협, 도시계획적 해법은 없는가 ? – 프랑스 파리시 지역상점 보호 및 상업가로 활성화 정책 연구, 도시설계, v.13 n.5, 19(51-69)

최희수, 박진아(2011),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의 생활권 공원녹지로서의 잠재적 활용가치에 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 (7), 8(173-180)

박진아 (2011), 파리시 도시지역계획의 지속가능한 개발 핵심전략으로서 ‘전통수복정책’ 연구, 건축역사연구, 20(2), 16(23-38)

이지연, 박진아(2008),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환경 특성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분당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9(4), 18(95-112)

김태호, 구자훈, 박진아(2008), 보행거리에 따른 역세권 내부 지가분포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수도권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9(3), 13(93-105)

이주희, 박진아(2008),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12(9-20)

박진아(2008), 도시기능 결정영향요인으로서 개발자금 조달방식에 관한 연구-프랑스 라데팡스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1(2), 20(93-112)

박진아, 목익수, 강우석(2008), 서울시 대학가 활성화 계획과정의 파트너십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 및 담장개방녹화사업 중심으로, 교육시설, 15(4), 12(26-37)

김성일, 박진아, 구자훈(2008), 공동주택 생활가로의 활동특성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도시설계, 9(2), 18(23-40)

박진아(2004), 르 꼬르뷔지에의 유토피아적 자연관의 절대적 이데올로기화 과정 연구, 건축역사연구, 13(2), 13(7-19)

박진아(2003), 19세기 오스만에 의한 파리 개발계획의 구조분석 재원조달 연구를 통한 도시 개발방식 이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2), 8(227-234)

Seo, K., Park, J.(2024),  Micro-environmental Factors along Commercial Streets and the Impact of Commercial Streetscape Characteristics on Place Preference – using a Multimodal Model combining SAM and CLIP, ICAPPS 2024

Park, W., Seo, K., Park, J.(2024), The Impact of Shared Street Environments on Driver and Pedestrian Perceptions : Focusing on the Factors of Pedestrian Priority Road(PPR), ICAPPS 2024

Kim, D., Park, J.(2023), Impacts of Online Grocery Delivery on Supermarket Locational Dynamics and Vulnerable Populations’ Accessibility: A Case Study of South Korea, 70th North American Meetings of the RSAI

Seo, K., Kim, D., Park, J.(2023), An Em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Visual Complexity and Tenant Mix on Commercial Streetscape Preference, ICAPPS 2023

Kim, D., Park, J.(2023), Exploring Location Choice of Dark Kitchen with Street View Imagery, ICAPPS 2023 (YUPN Award)

Kim, D., & Park, J.(2022), An Organizational Ecology Approach To Cafe Agglomeration In Seoul, WPSC-APSA Congress 2022

Baek, H., Kim, D., & Park, J.(2022), The Changes in Store Opening and Closing Distribution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nd Non-Face-to-Face Culture – Focused on the case of Seongdong-gu, F&B Industry -, ICAPPS 2022

Kim, D., Park, J.(2021), Modeling Pedestrian Satisfaction with Street-view Factors and Perception, ICAPPS 2021 (YUPN Award)

Kang, T., Park, J.(2019), Space-time Cluster Analysis of Jaywalking Accident Outside of Crosswalk : By using ‘Space-Time Scan Statistic’, ICAPPS 2019

Lee, J., Park, J.(2018), Revitalizing Urban Streets by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Side Space, Urban Transitions 2018

Kim, D., Park, J.(2018), Assessing Spatial Equity of Access to Neighborhood Retail and Service -The evidence of Seoul, Korea, ICAPPS 2018

Kim, B. et al.(2015), Encouraging Walking and Diagonal Stree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Planning 2015

Kim, B. and Park, J.(2015), The Application of Wall Removal for Crime Prevention,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Planning 2015

Park, J. et al.(2015), Pedestrian-friendly street : street spatial structure and pedestrian psychology, The Intricacy of walking and the City : Methods and Experiments, International Conference, Paris-Marne la Vallee, France

정윤주, 박진아(2013), A Study on the trend of upsizing retail store affecting commercial street environment, Inter-University Seminar on Asian Megacities, Asian Urbanism and beyond 2013

박진아(2008), Et les usager? – La Defense en quete de sens, Urbanisme, 34, 2(48-49), France

강희성, 박창권, 박진아, Alban Mannisi (2007), Almaty-Kapchagay G4 City MP, International New Landscape, 6, 8(14-21), China

김영경, 박진아 (2025), 도시공원 접근성과 주택 실거래가의 관계에 대한 공간·인지 통합 분석: 서울 석촌호수공원을 중심으로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은태, 박진아 (2025), 팝업스토어로 인한 생활밀접업종의 개폐업 변화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세진, 박진아 (2025), 부산광역시 지방소멸위험 영향 요인 연구 : 일자리 및 도시생활공간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갈력파, 박진아 (2025), 인구규모로 본 베이징 도시화 진행과정 실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양희제, 박진아 (2025), 연남동 상권의 점포 밀도와 방문객 수의 관계 분석–비선형 관계와 업종 동질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은태, 손아람, 한재원, 박진아 (2025),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 통학로의 여름철 일사량 분석과 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기후변화에 따른 보행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주세진, 박진아 (2024), 부산광역시 지방소멸위험의 영향 요인 연구 : 인구 및 기업의 유출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은태, 박진아 (2024),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성수동 팝업스토어 입지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영경, 박진아 (2024), 서울시 도시정비형 및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분석 : 주거안정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최현경, 박진아 (2024), 에어비앤비 유입에 따른 제주도 근린생활시설의 생존기간 및 외부 위기 대응능력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원선, 서광영, 박진아 (2024), 보행자우선도로와 보행자 교통사고 간 관계에서 운전자 인지의 매개효과 :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황규나, 박진아 (2024),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이 커피전문점 입지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홍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서광영, 박진아 (2024), 주거지 내 상업화 가로경관의 시각적 복잡성과 선호도 관계 분석 : 건축물 1층 상점 입면 인식 및 정량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황규나, 김동현, 박진아 (2024),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이 수요 중심의 소매입지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수동 지역 음식점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원선, 서광영, 박진아 (2024), 보차혼용도로 내 상업가로경관의 운전자 인식과 교통사고 발생의 관계 분석: 보행환경개선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이영주, 박진아 (2024), 1인 가구 증가와 음식점업 밀도 관계 분석 : 업종 다양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최현경, 박진아 (2024), 시계열 분석을 통한 제주도 관광상권의 동태적 변화와 유형 도출 연구 : 공유숙박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이영주, 박진아 (2023), 가구 구조가 골목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1인 가구의 증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박원선, 박진아 (2023), 서울시 보행자우선도로 사업의 상권 활성화 영향 분석: 이분차분법을 활용하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최현경, 박진아 (2023), 제주도 내 행정구역 별 오버투어리즘 단계 진단 및 유형 분석연구 – WTTC 오버투어리즘 진단지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황규나, 김동현, 박진아(2023), 소셜미디어의 이용행태 변화에 따른 커피전문점의 입지변화 특성 분석 – 가로공간 구조 및 경관 이미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서광영, 박진아(2023), 주거지역 내 상업화 가로경관의 시각적 복잡성과 선호도 관계 분석 – 건축물 1층 상점 입면 인식 및 정량화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능리화, 박진아(2023), 포용적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 설계 방안 연구: 자폐환자의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황규나, 김동현, 박진아(2023), 커피전문점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안영환, 김동현, 박진아(2023), 근린 내 업종과 주거침입 범죄 발생의 연관성 연구 – 112 신고 자료를 활용하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양승희, 박진아 (2022), COVID-19 발생 이후 상업 업종별 밀도에 따른 통행거리 변화분석 – 주거지 기반 여가통행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백희은, 박진아 (2022), 주거지 상업화 과정에서 발견되는 상업 군집과 입지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정욱, 김동현, 박진아(2022), 딥러닝을 활용한 수도권 신도시의 가로경관 평가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한별, 박진아(2022), 가로발생유형에 따른 도시공간의 가시성 분석 연구 – 인사동, 압구정동, 명동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양승희, 박진아 (2022), 상권업종과 인구특성에 따른 생활인구 여가 통행 분석 – COVID-19발생 이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백희은, 박진아 (2022), COVID-19와 비대면 문화의 확산에 따른 상점 개폐업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 성동구, F&B 업종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윤윤채, 박진아(2021), 도시 내 물류시설의 입지 특성 분석 : 창고와 소매업의 입지 비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남승희, 김동현, 박진아(2021), 서울시 상업가로에 대한 환경지각·인지 관계성 분석연구 – 발달상권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강민경, 박진아(2021), 서울시 상권의 동태적 변화 및 예측모형을 적용한 상권변화예측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슬기, 박진아(2021), 사회적 다양성과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서정욱, 박진아(2021), 수도권 신도시 계획지표 및 구조 차이에 따른 경관 만족도 실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양승희, 박진아(2021),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의 Z세대에 따른 주·야간 매출액 영향 연구 – COVID-19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백희은, 박진아(2021), 지대 격차와 상권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이하진, 박진아(2021), 서울시 생활권 공원의 접근성 분석 연구 – API 서비스를 활용하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김한별, 김동현, 박진아(2021),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예각필지의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21), 딥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근린 경관 지각의 공간적 불평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윤윤채, 박진아(2021), 근린상권의 역할 변화 연구 : 온라인 쇼핑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황재석, 박진아(2021), COVID-19으로 인한 골목상권 매출액 변화에 상권특성이 미친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강민경, 박진아(2021), 서울시 상권 변화 특성 분석 및 예측 모형을 통한 활성화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최슬기, 박진아(2021), 골목상권 · 발달상권의 특성에 따른 생존율에 관한 연구 : 강남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서정욱, 김동현, 박진아(2021), 퍼스널 모빌리티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한별, 김동현, 박진아(2021),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도심 내 예각필지의 시지각 인지 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양승희, 박진아(2021),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행 행태에 따른 이용 의향 및 영향 요소 연구 : 공유 전동 킥보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백희은, 김동현, 박진아(2021), 젠트리피케이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설계요소에 관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이지아, 박진아(2020), 소셜미디어 등장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장소성 형성 구조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20), 딥러닝을 활용한 서울의 경관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윤윤채, 박진아(2020), 근린상권의 상업 리질리언스 분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수훈, 김동현, 박진아(2020), 저층주거지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의 시각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강태연, 박진아(2020), 시계열분석을 통한 상권변화와 재활성화 단계 도출 – 압구정 로데오 일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이지윤, 박진아(2020), 가로경관의 물리적 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컴퓨터 비전 기법을 이용한 시각적 요소를 반영하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강민경, 박진아(2020), 상권발달 과정에서 상권의 공간적 확장의 시기별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슬기, 박진아(2020), 선형공원의 지각된 회복환경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정욱, 김동현, 박진아(2020), 딥 러닝 모델을 활용한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실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황재석, 김동현, 박진아(2020), 고령자의 서울시 소매업(슈퍼마켓) 접근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20), 시공간검색통계량을 이용한 서울시 공유 자전거 과다 수요 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강태연, 박진아(2020),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의 재활성화 가능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수훈, 박진아(2020), 서울시 행복주택이 인근 생활상권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이지윤, 박진아(2020), 상업가로경관의 입면변화특성 단계분석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윤윤채, 전준형, 박진아(2019), 근린의 인구사회 특성과 상업 변화의 상관관계 –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강태연, 박진아(2019), 주·야간 무단횡단 교통사고 다발지역 특징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박수훈, 김동현, 박진아(2019), 서울시 생활도로 내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이지윤, 박진아(2019), 컴퓨터 비전 기법을 활용한 상업가로의 시각적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 분석 – 가로경관 이미지의 정보량을 활용하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이지아, 박진아(2019),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에 따른 현대 소비공간에서의 장소성 인지 및 행동의도 분석 : 을지로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윤윤채, 박진아(2019), 서울시 고령자의 1차 의료 접근성과 공간적 형평성 분석 : 서울시 대중교통 API를 활용하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전준형, 박진아(2019), 보행환경에 대한 인지된 특성이 근린만족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한희수, 박진아(2019), 상권 형태에 따른 상업활동이 지역애착심 및 지역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병석, 박진아(2019), 주·야간 인사동 가로이미지 영향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18), 서울시 주거지역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진행에 따른 건축물 입면 변화 특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병석, 박진아(2018), 시간의 연속에 따른 상업가로 이미지 변화 연구 –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서광영, 박진아(2018), 상업가로 경관의 시각적 복잡성과 선호도 관계 분석 – 경리단길의 1층 상점입면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

이지아, 박진아(2018), 가로경관 색채분석을 통한 역사문화가로 이미지 보전 연구 – 삼청동길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한희수, 김병석, 박진아(2018), 상권 형태에 따른 상업시설애착이 지역커뮤니티에 주는 영향 연구 – 망우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18), 음식점 개·폐업의 시공간패턴분석을 통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감시 체계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류화연, 박진아(2018), 상업특성 측면에서의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지표 개발연구 –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전준형, 박진아(2018), 3차원 가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비정형 필지의 상업 확산 특성 분석 -이태원 경리단길 사례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류화연, 김동현, 박진아. (2018). 주거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상업가로의 유형화 연구- 서울시 상업가로의 상업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진아, 김동현(2018), 역사도심 예각 교차로의 자투리땅을 활용한 보행 공공공간 조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8 춘계산학학술대회

전준형, 김동현, 박진아(2018), 상점의 개·폐점을 통해 본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확산 특성 – 이태원 경리단길 사례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8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병석, 박진아(2017), 야간환경이 상업가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인사동길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이지아, 박진아(2017), 소규모 도시유휴공간으로서 건축물 측면공간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일반주거지역 내 상업화 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김동현, 박진아(2017),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활용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확산 특성 분석: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서광영, 박진아(2017), 건축물 사이공간으로서 측면공간 활용 여부에 따른 보행자 경관이미지 분석 연구 – 일반주거지역 내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강태연, 박진아(2017), 가로환경 및 노인집중시설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이하경, 박진아(2017), 젠트리피케이션의 지표로서 플래그십 스토어가 가지는 의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황해연, 박진아(2017), 비정형 필지로 이루어진 낙후주거지의 상업 확산 특성 – 경리단길 주변가로의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장한나, 박진아(2017),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획일화가 상권쇠퇴에 미치는 영향 –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도를 바탕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이하진, 박진아(2017), 상업가로의 가로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17),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 서울시 사업체조사(2006~2014)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서광영, 박진아(2017), 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 전후 지역이미지 변화 및 시설 효과 분석 – ‘플랫폼창동61’ 이용자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이재학, 박진아(2016), 재방문 의도와 방문자 인식조사를 통한 상업가로 쇠퇴 원인 분석 – 이대 앞 상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

박진아, 김병석, 노미나(2016), 개인선호별 가로공간 정보지원 시스템 구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16), 주거지역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상점 전면부 디자인 및 전면공간 이용특성 영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김병석, 박진아(2016), 상업환경이 지역의 커뮤니티와 장소애착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윤윤채, 박진아(2016), 인허가데이터를 활용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 구분 및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이재학, 박진아(2016), 쇠퇴 상업가로 방문자 만족도 및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동현, 박진아(2016), 가로의 상업화에 따른 저층부 입면 변화 경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민균, 박진아(2015), 도심 내 예각필지 유형별 교차로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김병석, 박진아(2015), 상업만족도가 마을 장소애착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윤윤채, 박진아(2015), 상업가로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 구분 및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이지아, 박진아(2015), 상업지역 보행자 경로선택을 통한 보행행태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김민균, 박진아(2015), 마을재생으로 관광지화 된 이화마을의 주거만족 및 정주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박진아(2015), 파리시 도시재생사업과 골목상권관리방안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이지아, 김병석, 김민균, 윤윤채, 박진아(2015), 상업가로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 대책 기초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김민균, 김병석, 이지아, 박진아(2015), 대각선길의 구조적·환경적 특성이 길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김병석, 박진아(2014), CPTED 적용을 위한 재소자 특성에 따른 단독주택지 범죄예방 환경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이지아, 차주원, 박진아(2014), 대각선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공간구조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김민균, 차주원, 박진아(2014), 보행선호가로 선택별 가로공간 구조 중요도 차이분석 -가상현실 실험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송지연, 박진아(2014), 가로의 구조적 환경에 대한 보행자 선호도 조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우수논문)

이세연, 박진아(2014), 교차로 길 선택에 있어 대각선 길 결정영향 요소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차다운, 박진아(2014), 가시영역기법(ISOVIST) 연구경향분석을 통한 보행유발가로 선별 방법론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차다운, 박진아(2013), 문화예술시설 입지가 지역재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삼청동과 신사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산학학술대회

이세연, 박진아(2013), 강남 슈퍼블록내 주거지의 상업용도침투에 따른 용도혼합 특성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정윤주, 박진아(2013), 삼청동길의 프랜차이즈 입점에 따른 상업정체성 변화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학술대회

정윤주, 이세연, 송지연, 표선영, 박진아(2013), 뉴타운개발에 대한 주민의식분석 및 지역정체성 형성과정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송지연, 박진아(2012), 물리적 특성과 이용자 활동특성 분석을 통한 한강시민공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반포한강공원과 여의도 한강공원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김병석, 박진아(2012), 단독 주택지 물리적 유형에 따른 주민 안전의식 차이 연구-담장허물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Projects

2024.05 ~ 2029.04 도시상권 쇠퇴에 대응한 멀티모달 딥러닝 기반 상권 모니터링 지표개발 및 전환적 상권 관리모델 개발 연구,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2024.07 ~ 2024.11 (연구책임) 성동구 지속가능발전계획 수립 연구 용역,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용역사업

2023.10 ~ 2023.12 (연구책임) 성수동 지속가능발전구역 상권 분석 및 모니터링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용역사업

2019.09 ~ 2024.02, (연구책임) 상업분야에서의 리질리언스 개념 도입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도시 상권진단 및 상권변화예측 모델 개발,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2019.06 ~ 2020.04, (공동연구) 보육ㆍ교육 기능 강화를 통한 아이키우기 좋은 신도시 조성방안 연구, LH

2019-04 ~ 2020-12, (연구책임) 스마트시티 연계 시민참여형 시지각·인지기반 근린경관 평가 딥러닝 모델구축 및 크리우드소싱 플랫폼 개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2017.10 ~ 2017.12, (연구책임) 역사도심 예각교차로의 자투리땅을 활용한 보행공공간 조성 용역, 서울특별시, 학술연구용역사업

2017.07~2020.06, (연구책임) 보행자 활동특성 분석을 통한 상업지 야간 경관 및 야간환경 관리를 위한 연구, (재)한국연구재단, 학술·인문사회사업,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2018.07~2018.11, (공동연구) 한국형 빈점포 및 유동화에 관한 기초연구, 소상공인진흥공단

2017~2019, (연구책임) 서울시의 상업문화경쟁력확보를 위한 상업지 입체적 정비방안 및 관리모델 개발 연구(후속),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기본연구

2017, (연구책임) 빈점포유동화대책연구, 소상공인진흥공단

2017~2018, (연구책임) 소규모 도시 유휴공간의 재활성화를 위한 건축물 측면공간 활용 가이드라인 구축 및 공간활용 유형별 공유 플랫폼 개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2017.02~2018.11, (공동연구) 도시개발법 개정 연구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2015~2016, (연구책임) 개인선호별 가로공간 정보지원 시스템 구축,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도약연구(전략-X-연구)

2014~2017, (연구책임) 서울시의 상업문화경쟁력확보를 위한 상업지 입체적 정비방안 및 관리모델 개발 연구,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일반연구자지원사업, 기본연구

2013~2016, (연구책임) 기후변화시대의 탄소저감을 위한 보행친화적 가로공간구조 연구 – 보행유발요인으로서 가로 구조적영향 분석, (재)한국연구재단, 학술·인문사회사업, 인문사회기초연구사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2005~2006, (공동연구)행정중심복합도시 미래형 주거지 조성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2007~2009, (공동연구)미래강남 도시발전계획, 강남구

2007, (공동연구) 용산공원 개념 국제공모 관리를 위한 용역, 국무조정실

2007, (공동연구) 지구단위계획 교육 – 도시재생과 지구단위계획의 활용,한국도시설계학회5

2024,  Jury of “New Kharkhorum” City International Competition (몽골 신행정수도 마스터플랜 국제현상설계 심사위원)

2017, 광진구 원스쿨어린이집 공간 설계, 서울특별시 광진구청 발주, AKim Architects

2016, 체부동 생활문화센터 조성공사 지명설계공모, 서울특별시도시기반시설본부 주관, AKim Architects

2016,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 동대문구 장안1동 주민센터 공간설계 및 감리, AKim Architects

2015, 쌍문동 국공립어린이집 신축설계 지명설계공모, 서울특별시 도봉구청 주관, Akim Architects

2015, Seoul Scenarios: Community Center for Seoul residents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공간설계 1차 시범사업),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 2동 주민센터 공간설계 및 감리, AKim Architects

2015, 강동소방서 고덕119 안전센터 재건축 지명초청 현상공모전

2014, 한양대학교 학생처·양성평등센터·한양상담센터 실내디자인 계획안

2014,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Rehabilitating Mapo Oil Depot into a Cultural Depot Park

2014, 중계본동 국공립어린이집 지명현상설계

2013, 영주 노인복지시설 현상설계

2013, 위례지구 A1-10BL 마스터플랜 자문

2013, 대치동 근린생활시설

2013, 양천구 목동 보건지소 현상설계

2012, CRISTAL OCEAN PLAZA&CINEMA 계획안, 아산시

2012, 시안 봉안담 시설 종성공사

2010, 내곡보금자리주택지구 아파트 경관계획

2010, Vung Tau Ocean Front Development

2010, Masdar City Master Plan

2010, 남양주 진건지구 보금자리주택 마스터플랜

2009~2010, Boughzoul New Town Master Plan, Algeria

2009, U-City Proposal, China

2009, Bouinan New Town Master Plan, Algeria

2009, Al Anbar New Town Development Plan, Iraq

2009, Hydra Development Plan, Algeria

2009, 양산시 웅상읍 주진동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구역지정 용역

2006~2007, Mercur Astana Luxury Town Master Plan, Kazachstan

2006, Almaty-Kapchagay G4 City Development Plan, Kazachstan

2006, Oran Park Master Plan, Algeria

2006, 동국대학교 중장기 캠퍼스-커뮤니티 마스터플랜수립 현성설계

2006, 강진군 도심재생 및 지속개발계획, 파리 UNESCO 발표/전시

1998, Mulhouse Colmar University Master Plan, Alsace, France

Scroll to Top